1. 높은 주파수의 음악 듣기 (어느 장르든 상관없다)
높은 주파수 음악이란 , 432hz , 528hz 등 유투브에서 검색하면 해당 명상음악들이 검색되는데
높은 주파수의 음악을 들으면 기분이 좋아지고 머리가 맑아지는 느낌이 있다.
밥 말리의 음악은 보통 432hz 로 구성되어있다고 한다.
기분이 쳐지거나 우울하다면 높은 주파수의 음악을 선택하고 명상이나 운동을 하면 좋다.
굳이 432hz, 528hz 만 찾아 들을 필요는 없다.
내 기분을 신나게 업 시켜주는 음악이라면 뭐든지 좋다.
2. 운동하기
운동을 자주 하는 사람들은 따로 명상을 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머리가 맑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행복 전달 물질인 세로토닌이 뇌와 장에서 많이 방출되기 때문이다. 세로토닌 뿐만아니라
도파민 , 엔도르핀 등도 운동 정도에 따라 방출되는 양이 틀리다.
인생에서 어떤 시기에 좋지 않은 일을 겪거나 해결할 수 없는 과제에 직면했을 때,
스스로 동기부여할 수 있는 운동을 찾아서 주기적으로 하면 높은 주파수의 삶을 살 수가 있다.
3. 긍정적인 생각
우리는 살면서 점점 분별하고 구분하는 습관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나의 생각들을 스스로 평가하는 습관이 생기는데
이는 점점 나의 에너지를 떨어뜨리는 습관이다. 생각도 에너지를 발생하기 때문에 하루종일 아무것도 하지않고
생각만해도 쉽게 지칠 수 있다. 긍정적인 생각 그리고 나의 밝은 미래를 만들수 있는 단계별 상상에 집중해보자
예를 들어 나는 어떤 꿈을 갖고 있다. 내 꿈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처음에는 막연한 생각으로 시작한 것이 점점 구체화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을 세부적으로 나눠 아주 쉬운 것부터 차근차근 진행한다.
4. 다른 사람 돕기
다른 사람을 도울 때는 어떤 보상도 기대하지 않고 돕는다. 처음에는 이것이 너무 생소하기 때문에 남을 돕는 것에 대해
손익을 먼저 따지는 것이 습관이 되어 크게 와닿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점점 보상이 없는 도움을 시도해보자.
예를 들어 갑자기 헌혈을 한다던지 , 블로그에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글을 쓴다던지,
할 수있는 것을 차분하게 시도해보면
그 행위를 할 때마다 점점 내 기분이 좋아지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처음 시작한 아주 작은 행동이 점점 커지게 되면서 더 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이 세상은 카르마로 이루워져있다. 내가 한 행동은 반드시 나에게 돌아오게 되어있다.
5. 창의적인 활동 하기
필자가 글을 쓰는 이유다. 창의적인 활동은 내 의식을 항상 깨어있게 해준다.
테렌스 맥케나의 유명한 말 중 "나 자신이 계획이 없으면 다른 사람 계획 속에서 살게 된다." 라는 말이 있다.
경제활동을 하면서 우리는 항상 생존이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고 ,
대부분의 사람들은 남을 위해 일을하며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내 주파수도 저하되고
그것을 잘못된 방법으로 스스로 위로를 한다. 술 , 담배 , 기타 다른 약물 등 . 이미 낮아져버린 주파수를
좋지 않은 방법으로 올려봤자. (일명 '중독'이라고 부른다.) 더 바닥으로 치달을 뿐이다.
창의적인 활동은 스스로 자존감을 높히는데 최고의 활동이다. 창의적인 활동은 신을 닮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취미로 하나쯤은 창조적인 활동을 시작해보자.
미술, 작곡, 작문 등 관심있는 거에 하나씩 발을 담가보기 시작하면 스스로 살아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6 자연속에서 휴식 , 자연에 대한 경외심
주말에 사람들이 많이 찾지 않는 자연 속에 가보는 것이 어떨까? NATURE DATE 라는 용어가 있다.
미국에 젊은이들이 주중에 받은 스트레스를 주말에 시외로 캠핑을 가거나, 산 속 팬션에서 떨어져
혼자 명상하고 오는 그런 문화가 생긴 것이다. 자연속에서 몇 시간만 있어도 주중에 생겼던 고민 ,
스트레스 등은 아주 작은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큰 강 , 산 , 바다 등이 나의 작은 몸을 포옹하듯이
나를 맞아준다. 포근하고 편안하다.
그리고 끝 없이 펼쳐진 바다를 보면 경외심을 느낀다. 나도 자연의 한 소속이고 많은 사람들도
그저 각 부분 부분에 소속되어 일정한 규칙으로 살아가는 자연 人子 일 뿐이다.
서로 존중하며 살아가야할 이유를 느낀다.
7. 인스턴트 음식 섭취 중지
인스턴트 음식은 두 가지 이유로 좋지 않다. 하나는 정말 과학적으로 사람의 몸에 들어가면 안되는 것으로
똘똘 뭉쳐져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각종 탄수화합물 , 설탕 등은 우리 몸에 당독소를 쌓이게 해서 , 쉽게
비만에서 탈출하지 못하게 한다. 인스턴트 음식만 3개월 먹지 않아도 우리 몸은 아주 쉽게 체중이 줄게 된다.
다른 한가지는 정신적인 문제, 무의식에 대한 이야기를 다시 꺼낸다. 일단 인스턴트 음식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대충 끼니를 때우는 음식 , 싸구려 음식 , 요리가 아닌 음식 .. 우리는 어렸을 때 부터 수 많은 음식을 먹고
자랐기 때문에 스스로 어떤 음식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스스로 라면과 삼각김밥이 너무 맛있고 최고의 음식이라고
생각을하고 먹는다고 한들 , 그것은 의식의 생각이고 무의식은 이렇게 소리칠 수도 있다.
'아니야 그만 먹어 , 너는 더 건강하고 비싼 음식을 먹을 권리가 있어!! 아니 의무가 있어!'
이제 부터 내 입에 들어가는 하나하나 내 몸을 위해 조금만 신경 써보자.
그럼 자연스럽게 자존감 , 자애심 , 자신감 등이 향상될 것이다.
8. 명상
하루 종일 우리의 뇌는 컴퓨터 처럼 계속 돌아간다. 아주 작은 생각 , 중요한 결정 , 타인에 대한 생각 , 과거 생각 ,
미래 계획 등 쉬지 않고 돌아가는 CPU처럼 우리의 뇌도 쉬지 않고 돌아간다. 침대에 누워서 까지 돌아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다. 가만히 생각해보자. 그 수 많은 생각들이 우리의 삶을 진정
나아지게 했는가? 내가 아무리 머리를 돌리고 구상을 한들 실제로 내 삶의 변화가 생겼던 것은
나의 행동이었다. 물론 그 행동을 결정하기까지 또 많은 생각을 했겠지만 ,
실제로 많은 생각은 에너지만 소비할 뿐 , 내 삶에 큰 변화를 주지 않는 다는 말이다.
명상은 오늘의 생각은 오늘만 , 내일의 생각은 다시 내일 그 때에만 해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컴퓨터를 생각해보면 우리는 가끔 휴지통이나 레지스트리 정리 , 바탕화면 정리 , 파일 정리 등을 해야
컴퓨터 성능이 좋아지듯이 , 명상도 똑같은 작용을 한다. 내 생각의 찌꺼기들 과거 기억 , 죄책감 , 자괴감 , 우울감
걱정 , 미움 기타 실제 도움 안되는 생각들을 정화 시켜준다.
명상을 4년 하고 나에게 온 변화들
2016년 명상을 처음 접하고 지금까지 꾸준히 하면서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사석에서 가끔 명상이 주제로 나오면 짧은 시간에 많은 것을 이야기 해줄 수가 없어서 글로 써보려고 한다. 2016년 부터
starboy777.tistory.com
9. 간헐적 단식
우리는 너무 먹는다. 먹고 또 먹는다. 술먹고 안주먹고 디저트 먹고 다음에 다시 만나 또 먹자고 한다.
사람들이 잘 모르는 사실이 있는데 , 최근 한 과학자가 우리의 뇌는 머리속의 뇌 한개가 아니라는 주장을 보였다.
실제로 상황을 판단하고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뇌 뿐만 아니라 , 심장 과 내장도 관련이 있다고 한다.
뇌에 전달하는 물질 중 , 정말 중요한 화학물질인 세로토닌, 도파민은 우리가 행복감을 느끼게 해주고 ,
어떤 일을 수행함에 있어서 보상받은 느낌도 전달하기 때문에 그 물질이 적게 나오면 사람들은 무기력해지고,
(어떤 일을 해도 보상감이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 우울해져서 점점 좋지 않은 현실만 만들어 갈 뿐이다.
그래서 디톡싱이 필요하다. 간헐적 단식 중 , 저녁 6시부터 다음날 오전 10시까지 단식하는 16시간 단식은
몇일만 해보더라도 머리가 맑아졌다는 느낌이 들고 , 몸도 가벼워진다.
점심 폭식으로만 이어지지 않는다면 정말 좋은 건강 습관이다. 또 다른 뇌인 장기도 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쉬게 해주자.
10. 미디어 시청 중단
집에 오면 텔레비전부터 켜는 것이 습관이 되었나? 내 삶의 큰 도움이 되지 않는 뉴스거리를 보면서
흥분한적이 있는가? 텔레비전을 보고 난 나의 행동을 가만히 잘 관찰해보자. 많은 행동들이 대부분
의도하지 않은 쇼핑 , 야식 배달 등, 이전 텔레비전에서 당신에게 어필한 것들이 마치 최면처럼
내 눈앞에 떡 하니 나타나는 것이다. 신기하지 않은가?
나는 사실 치킨을 먹을 생각이 애초에 없었다.
내 기분이 오르락 내리락하면서 예전보다 그 폭이 조금 심해졌다면 ,
갑자기 원인모를 화가 치밀어 오른다면 , 텔레비전이 아주 작은 역할을 했을 수 있다.
텔레비전 뿐만 아니라 인스타그램 , 틱톡 , 트위터 기타 여러분의 눈을 즐겁게 하는 미디어들은
계속 이렇게 말한다.
' 뭐가 부족하지? 뭘 사야 될꺼 같지? 배고프지 않아? '
한 달만 미디어와 멀어져보자. 중요한 뉴스는 어떤 방식으로든 들릴 것이다.
한 달만 단절해보고 내 삶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지켜보자.
'마인드컨트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가 삶에 미치는 영향 (0) | 2020.07.09 |
---|---|
현재에 몰입하는 법 (0) | 2020.06.25 |
내 자신을 컨트롤 하고 좋은 의사결정을 하는 법 (0) | 2020.06.15 |
주변에 너무 미운 사람이 있다? [미워하는 사람 없어지게 하는 법] (0) | 2020.05.21 |
끌림의 법칙 1단계 - 관찰하기 ( LOA - 1st step - Observation ) (0) | 2020.05.21 |